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책과정론
- 취업
- 국제학
- 전망이론
- 정책집행론
- 조직행동
- 조직관리
- 관료정치모형
- 손실구간
- 상향식접근
- 조직절차모형
- 행정학
- 도구변수
- 실험설계
- 정책평가
- 합리모형
- 정책학
- 식품불안정
- 앨리슨모형
- 조직루틴
- 논문쓰기
- 징병추첨번호
- 정책결정론
- 이론이란?
- 상향식 집행
- 미숙련 노동자
- 하향식접근
- 계량분석
- 기대효용이론
- 쓰레기통모형
- Today
- Total
목록손실구간 (2)
공간정책분석가
Summary 저자는 국제학 주류이론인 현실주의와 자유주의가 북한 핵 위기 사태에 대한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하며, 전망이론을 통해 북한의 외교정책을 설명하고 향후 행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저자가 주로 사용하는 전망이론의 개념은 준거점, 준거점에 따른 위험성향, 현상유지 경향, 선호의 역전이다. 저자는 먼저 가설을 설정한 후 1994년부터 2002년까지의 일련의 핵위기 사태를 시기별로 구분하여 검증을 시도한다. 가설A1은 현상유지 정책으로, 북한 정권이 대외적 상황을 손실로 인식할 경우 이를 복구하기 위해 더 위험감수적인 핵 정책을 취할 것이라는 것이다. 가설 B1은 극단적인 손실이 확실시 될 경우 위험회피적 정책을 취할 것이라는 것이다. 가설 C1은 국내 상황을 손실로 인식할 경우 ..

Summary 저자는 ch2에서 논의한 전망이론의 개념을 카터의 인질구출 작전에 적용하여, 카터가 왜 성공 가능성이 극히 낮았던 작전을 강행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먼저 당시의 배경을 보면 다음과 같다. 1979년 11월4일 이란 내의 불안정한 정치상황과 더불어 이슬람혁명이 일어나면서 테헤란에 위치한 미국 대사관이 학생 시위대에 의해 점령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53명의 미국인 인질은 1981년 1월20일(총 444일)까지 송환되지 못했다. 인질 사태 발생전까지 지지율의 하락을 겪고 있던 카터 정부는 인질 사태 발생 직후 rally-round-the-flag 효과를 받았다. 12월 여론조사를 보면 당시 국민들은 군사적 행동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았지만, 1월까지 외교적 성과가 나오지 않자 카터의 외교정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