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논문쓰기
- 쓰레기통모형
- 정책집행론
- 미숙련 노동자
- 실험설계
- 앨리슨모형
- 정책학
- 조직루틴
- 식품불안정
- 조직관리
- 이론이란?
- 정책평가
- 정책과정론
- 조직절차모형
- 조직행동
- 징병추첨번호
- 손실구간
- 계량분석
- 취업
- 행정학
- 합리모형
- 전망이론
- 상향식접근
- 하향식접근
- 기대효용이론
- 정책결정론
- 국제학
- 상향식 집행
- 관료정치모형
- 도구변수
- Today
- Total
목록논문쓰기 (2)
공간정책분석가
Summary 1. 좋은 이론은 다양한 형태를 지닌다 DiMaggio는 본 논문을 통해 이론에 대한 문제가 Sutton & Staw의 의견보다 왜 더욱 복잡하고 어려운지를 3가지 근거를 가지고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첫째, DiMaggio는 좋은 이론의 종류를 (1) 일반법칙 이론, (2) 계몽적 이론, (3) 네러티브 이론으로 보았다. Sutton & Staw가 강조한 이론은 네러티브 이론으로 사회현상에 대한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현상이 어떠한 조건하에서 발생하는지를 서술하고 실증하는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일반법칙 이론은 현상이 어떠한가를 일반화하여 서술하는 방식으로, 방법론적으로 볼 때 모형 설명력()을 중시하고 어떤 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Summary Sutton & Staw는 ASQ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본 논문을 통해 이론이 있는 논문과 없는 논문의 차이를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저자는 이론이란 무엇인가를 논하고자 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없기때문에 강한 이론을 갖는 논문을 쓰는 것이 더욱 어렵다고 서술한다. 또한, 이론을 만드는 과정속에서 보편성, 간결성, 정확성 등 모순적인 가치들을 절충해야 하는 상황에 빠지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는 이론 자체가 도전적인 과제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저자는 한걸음 떨어져서, 합의가 되지 않은 이론 그 자체를 정의하기보다는 무엇이 이론이 아닌지를 5가지로 요소들로 설명하고자 했다. 첫째는 참고문헌(References)의 나열이다. 논문의 저자는 본인의 이론을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