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손실구간
- 정책평가
- 기대효용이론
- 쓰레기통모형
- 실험설계
- 상향식 집행
- 조직절차모형
- 정책집행론
- 상향식접근
- 징병추첨번호
- 하향식접근
- 정책결정론
- 이론이란?
- 정책학
- 조직행동
- 미숙련 노동자
- 합리모형
- 조직루틴
- 식품불안정
- 논문쓰기
- 도구변수
- 앨리슨모형
- 취업
- 조직관리
- 행정학
- 국제학
- 관료정치모형
- 정책과정론
- 전망이론
- 계량분석
- Today
- Total
목록취업 (2)
공간정책분석가
Background 낮은 급여를 받는 노동시장에서 고용주는 최저임금에 어떻게 반응을 할까?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에서의 예측은 이에 대해 불명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연구에서 높은 최저임금의 고용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측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최저임금이 고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새로운 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분석은 뉴저지와 펜실베이니아에 위치하고 있는 410개 패스트푸드점을 대상으로 뉴저지의 최저임금이 $4.25에서 $5.05로 오른 것에 따라 어떠한 고용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뉴저지와 펜실베이니아의 고용, 임금, 가격을 뉴저지 최저임금 변화 이전과 이후로 비교함으로써 최저임금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뉴저지 내에서 고임금을 주는 곳..

Background 1990년 7월 독일의 통일이 일어난 이후 구 동독 지역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심각한 불균형이 발생했다. GDP는 연간 6~8%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노동자의 소득은 서독대비 48%에서 73%로 증가했지만, 생산력은 31%에서 51%로 밖에 증가하지 못했다. 노동력은 1990년 830만명에서 1992년 630만명으로 급감했고 공식적인 실업률은 2%에서 1992년 15%로 증가했다. 이러한 사태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대대적인 인적자원 재교육(CTRT)을 실시했다. 본 논문은 동독에서 진행된 ‘지속적 직업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CTRT는 세가지의 방식을 따르는데 첫 번째 현재 직장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교육하는 것, 둘째 새로운 직장을 위해 재교육하는 것, 셋째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