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향식 집행
- 앨리슨모형
- 행정학
- 실험설계
- 관료정치모형
- 계량분석
- 국제학
- 합리모형
- 이론이란?
- 조직관리
- 쓰레기통모형
- 징병추첨번호
- 조직행동
- 정책집행론
- 조직절차모형
- 정책평가
- 논문쓰기
- 도구변수
- 기대효용이론
- 정책학
- 전망이론
- 하향식접근
- 상향식접근
- 조직루틴
- 미숙련 노동자
- 손실구간
- 정책과정론
- 정책결정론
- 식품불안정
- 취업
- Today
- Total
목록쓰레기통모형 (2)
공간정책분석가
Summary 저자는 조직이론의 주요 이론들이 쓰레기통 모형의 계보라고 할 수 있지만, 쓰레기통 모형의 영향력에 비해 모형에 대한 검정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쓰레기통 모형을 평가하고, 모형의 주장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어서 쓰레기통 모형의 계보를 상세하게 서술함으로써 쓰레기통 모형의 이론이 신제도주의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저자는 비형식 이론(verbal theory)과 이를 검정하는 모형(computer model)을 구분하고, 비형식 이론이 모형 검정을 통해 형식 이론(formal theory)으로 정립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Cohen et al.(1972)이 비형식 이론과 쓰레기통 모형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최초로 쓰레기통모형을 소개하는 논문으로 저자는 Cohen, March and Olsen이다. Summary 쓰레기통모형은 조직화된 무질서 속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준다. 저자에 따르면 조직화된 무질서는 (1) 선호의 불확실, (2) 불명확한 기술, (3) 유동적인 참여자라는 속성을 지닌다. 이는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이 가정하고 있는 명확한 선호와 완전한 정보에 배치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직행태론이 이와 같은 상황을 이론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목표가 모호한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지, 둘째, 구성원의 주의가 언제 분산되고 집중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합리적 선택모형에 따르면 조직은 잘 정의된 문제에 대해 여러 해결책을 탐색하고 선택하는 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