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앨리슨모형
- 징병추첨번호
- 정책학
- 도구변수
- 하향식접근
- 행정학
- 이론이란?
- 합리모형
- 조직관리
- 상향식 집행
- 정책과정론
- 계량분석
- 조직절차모형
- 논문쓰기
- 취업
- 손실구간
- 국제학
- 조직행동
- 전망이론
- 정책결정론
- 관료정치모형
- 쓰레기통모형
- 정책집행론
- 미숙련 노동자
- 실험설계
- 기대효용이론
- 조직루틴
- 식품불안정
- 정책평가
- 상향식접근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7)
공간정책분석가
Summary 저자는 기존 연구(전통적인 관점)들이 명시적(ostensive) 측면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루틴이 반복적인 패턴으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물론 선행연구들에서 루틴의 유연성(flexibility), 변화(variance), 변이(mutation), 적응(adaption) 등 루틴이 변화할 수 있는 특성에 대한 어느 정도의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이론적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 저자는 루틴을 두 개의 구조(duality of structure)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Latour가 사용한 ostensive(명시적)와 performative(실행적)라는 용어를 차용하여 두 측면의 루틴 간 관계를 설명하고자 했다. 더 나아가 루틴을 안정성(stab..
Summary 본 논문은 Nelson & Winter가 도입한 루틴의 개념이 20년간 어떠한 연구를 거쳐서 이론적으로 발전해왔고 실증되어왔는지를 정리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가 (1) 루틴을 무엇이라 정의하고 있는지, (2) 루틴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다만, Becker는 선행연구들 사이에서 충돌하고 있는 특징 또는 개념에 대해 무엇이 옳다고 주장하지 않고, 논의의 전개과정을 그대로 보여주고자 했다. ❍ 루틴의 특징 (정의) 저자는 루틴을 정의하기 위해 루틴이 갖고 있는 특징들을 일곱가지로 정리하였으며, 여기에는 패턴(pattern), 반복(recurrence), 집단(collective), 의식없는 vs 의식있는(mindlessness vs ..
Summary 저자는 본 저서를 통해 조직의 모든 역량을 바탕으로 최적의 선택을 한다는 전통적인 관점(합리적 조직)과는 다르게 진화경제학 관점에서 조직의 행동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 루틴이다. 먼저 저자는 1절에서 조직의 기억과 루틴을 매칭하여 루틴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설명하고자 했다. 루틴은 암묵지와 유사한 개념으로, 온전히 기술할 수 없고, 행동(exercise)을 통해서만 기억될 수 있는 조직의 기억이라고 정의된다. 이 때 루틴은 단순히 일상적인 행동의 반복이 아니라 개인, 개인의 기술, 환경과 맥락 및 다른 개인의 다양한 방식의 메시지를 해석하는 능력의 조화(coordination)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루틴이 중요한 이유는 조직의 방대한 지식을 개인의 인지능력으..
Summary 1. 좋은 이론은 다양한 형태를 지닌다 DiMaggio는 본 논문을 통해 이론에 대한 문제가 Sutton & Staw의 의견보다 왜 더욱 복잡하고 어려운지를 3가지 근거를 가지고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첫째, DiMaggio는 좋은 이론의 종류를 (1) 일반법칙 이론, (2) 계몽적 이론, (3) 네러티브 이론으로 보았다. Sutton & Staw가 강조한 이론은 네러티브 이론으로 사회현상에 대한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현상이 어떠한 조건하에서 발생하는지를 서술하고 실증하는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일반법칙 이론은 현상이 어떠한가를 일반화하여 서술하는 방식으로, 방법론적으로 볼 때 모형 설명력()을 중시하고 어떤 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Summary Sutton & Staw는 ASQ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본 논문을 통해 이론이 있는 논문과 없는 논문의 차이를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저자는 이론이란 무엇인가를 논하고자 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없기때문에 강한 이론을 갖는 논문을 쓰는 것이 더욱 어렵다고 서술한다. 또한, 이론을 만드는 과정속에서 보편성, 간결성, 정확성 등 모순적인 가치들을 절충해야 하는 상황에 빠지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는 이론 자체가 도전적인 과제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저자는 한걸음 떨어져서, 합의가 되지 않은 이론 그 자체를 정의하기보다는 무엇이 이론이 아닌지를 5가지로 요소들로 설명하고자 했다. 첫째는 참고문헌(References)의 나열이다. 논문의 저자는 본인의 이론을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설..